[Kotlin]프로그래머스 level2 - • [3차] n진수 게임(2018 KAKAO BLIND RECRUITMENT)
링크 :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687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N진수 게임
튜브가 활동하는 코딩 동아리에서는 전통적으로 해오는 게임이 있다. 이 게임은 여러 사람이 둥글게 앉아서 숫자를 하나씩 차례대로 말하는 게임인데, 규칙은 다음과 같다.
- 숫자를 0부터 시작해서 차례대로 말한다. 첫 번째 사람은 0, 두 번째 사람은 1, … 열 번째 사람은 9를 말한다.
- 10 이상의 숫자부터는 한 자리씩 끊어서 말한다. 즉 열한 번째 사람은 10의 첫 자리인 1, 열두 번째 사람은 둘째 자리인 0을 말한다.
이렇게 게임을 진행할 경우,
0, 1, 2, 3, 4, 5, 6, 7, 8, 9, 1, 0, 1, 1, 1, 2, 1, 3, 1, 4, …
순으로 숫자를 말하면 된다.
한편 코딩 동아리 일원들은 컴퓨터를 다루는 사람답게 이진수로 이 게임을 진행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0, 1, 1, 0, 1, 1, 1, 0, 0, 1, 0, 1, 1, 1, 0, 1, 1, 1, …
순으로 숫자를 말하면 된다.
이진수로 진행하는 게임에 익숙해져 질려가던 사람들은 좀 더 난이도를 높이기 위해 이진법에서 십육진법까지
모든 진법으로 게임을 진행해보기로 했다.
숫자 게임이 익숙하지 않은 튜브는 게임에 져서 벌칙을 받는 굴욕을 피하기 위해,
자신이 말해야 하는 숫자를 스마트폰에 미리 출력해주는 프로그램을 만들려고 한다. 튜브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라.
입력 형식
진법 n
, 미리 구할 숫자의 갯수 t
, 게임에 참가하는 인원 m
, 튜브의 순서 p
가 주어진다.
- 2 ≦
n
≦ 16 - 0 <
t
≦ 1000 - 2 ≦
m
≦ 100 - 1 ≦
p
≦m
출력 형식
튜브가 말해야 하는 숫자 t
개를 공백 없이 차례대로 나타낸 문자열.
단, 10
15
는 각각 대문자 A
F
로 출력한다.
입출력 예제
n | t | m | p | result |
---|---|---|---|---|
2 | 4 | 2 | 1 | "0111" |
16 | 16 | 2 | 1 | "02468ACE11111111" |
16 | 16 | 2 | 2 | "13579BDF01234567" |
풀이
딱히 별다른 알고리즘을 사용한 것이 아니라 그냥 진짜 빡 구현한 듯하다,,☹️
빡구현을 하였기에 코드가 진짜 더럽다,,,
또한 위 알고리즘은 코틀린으로 제출할 수 없기에 코틀린으로 먼저 풀고 자바로 변환하여 제출하였습니다~
class NumberGame {
fun solution(n: Int, t: Int, m: Int, p: Int): String {
var answer = ""
var arr = mutableListOf<String>()
arr.add("0")
for (i in 1..t * m) {
if(n != 10) {
arr.addAll(makeArray(i, n))
}else if(n == 10){
arr.addAll(makeArrayByOctal(i))
}
}
var turn = p - 1
for (i in turn..arr.size step (m)) {
answer += arr[i]
if(answer.length == t){
break
}
}
// println(arr.toList().toString())
return answer
}
fun makeArray(number: Int, n: Int): MutableList<String> {
var arr = mutableListOf<String>()
var num = number
while (true) {
var tmp = num % n
num /= n
if (tmp == 10) {
arr.add("A")
} else if (tmp == 11) {
arr.add("B")
} else if (tmp == 12) {
arr.add("C")
} else if (tmp == 13) {
arr.add("D")
} else if (tmp == 14) {
arr.add("E")
} else if (tmp == 15) {
arr.add("F")
} else if (tmp < 10) {
arr.add(tmp.toString())
}
if (num < n) {
if (num == 10) {
arr.add("A")
} else if (num == 11) {
arr.add("B")
} else if (num == 12) {
arr.add("C")
} else if (num == 13) {
arr.add("D")
} else if (num == 14) {
arr.add("E")
} else if (num == 15) {
arr.add("F")
} else if (num < 10) {
arr.add(num.toString())
}
break
}
}
arr.reverse()
if(arr[0] == "0"){
arr.removeAt(0)
}
return arr
}
fun makeArrayByOctal(number: Int): MutableList<String>{
var num = number
var arr = mutableListOf<String>()
while(true){
var tmp = num % 10
arr.add(tmp.toString())
num /= 10
if(num < 10){
arr.add(num.toString())
break
}
}
arr.reverse()
return arr
}
}
fun main(args: Array<String>) {
val ng = NumberGame()
println(ng.solution(16, 16, 2, 2))
}
10진법이랑 이외의 진법을 다른 함수로 구현하였지만 더 깔끔한 방식이 있을 것 같다,,
이것은 내 실력 부족으로 인해 너무 코드가 더러워졌당,,
우선 var arr = mutableListOf<String>()
의 배열이 문제에서 각 자리수를 담고 있는 배열이다.
for (i in 1..t * m) {
if(n != 10) {
arr.addAll(makeArray(i, n))
} else if(n == 10){
arr.addAll(makeArrayByOctal(i))
}
}
→ 위 코드의 핵심은 적당한 숫자인 t * m 까지 for문을 돌면서 각 숫자를 makeArray()
함수를 통하여 추가한다.
fun makeArray(number: Int, n: Int): MutableList<String> {
var arr = mutableListOf<String>()
var num = number
while (true) {
var tmp = num % n
num /= n
if (tmp == 10) {
arr.add("A")
} else if (tmp == 11) {
arr.add("B")
} else if (tmp == 12) {
arr.add("C")
} else if (tmp == 13) {
arr.add("D")
} else if (tmp == 14) {
arr.add("E")
} else if (tmp == 15) {
arr.add("F")
} else if (tmp < 10) {
arr.add(tmp.toString())
}
if (num < n) {
if (num == 10) {
arr.add("A")
} else if (num == 11) {
arr.add("B")
} else if (num == 12) {
arr.add("C")
} else if (num == 13) {
arr.add("D")
} else if (num == 14) {
arr.add("E")
} else if (num == 15) {
arr.add("F")
} else if (num < 10) {
arr.add(num.toString())
}
break
}
}
arr.reverse()
if(arr[0] == "0"){
arr.removeAt(0)
}
return arr
}
→ makeArray 함수는 이렇게 구성되어 있는데 숫자의 나머지를 var arr = mutableListOf<String>()
변수에 저장하면서 num /= n
를 통하여 num을 계속 몫으로 저장한다.
결론은 그냥 숫자를 n진법으로 바꾸는 과정이다.
함수를 통하여 만들어진 배열은 기존의 arr의 배열에 그대로 추가한다.
그 코드가 arr.addAll(makeArray(i, n))
이다.
그러고 나서
var turn = p - 1
for (i in turn..arr.size step (m)) {
answer += arr[i]
if(answer.length == t){
break
}
}
코드에서 첫번째 인덱스를 p - 1
로 설정하고 m
만큼 건너뛰면서 answer
스트링에 추가하면서 답을 저장한다.
정답~
이후 쓸모없이 분리된 함수 두개를 합쳐서 만든 최종 코드!
class NumberGame {
fun solution(n: Int, t: Int, m: Int, p: Int): String {
var answer = ""
var arr = mutableListOf<String>()
arr.add("0")
for (i in 1..t * m) {
arr.addAll(makeArray(i, n))
}
var turn = p - 1
for (i in turn..arr.size step (m)) {
answer += arr[i]
if (answer.length == t) {
break
}
}
return answer
}
fun makeArray(number: Int, n: Int): MutableList<String> {
var arr = mutableListOf<String>()
var num = number
while (true) {
var tmp = num % n
num /= n
arr.add(pasingNumber(tmp, n))
if (num < n) {
arr.add(pasingNumber(num, n))
break
}
}
arr.reverse()
if (arr[0] == "0") {
arr.removeAt(0)
}
return arr
}
fun pasingNumber(number: Int, n: Int): String {
if (n != 10) {
if (number == 10) {
return "A"
} else if (number == 11) {
return "B"
} else if (number == 12) {
return "C"
} else if (number == 13) {
return "D"
} else if (number == 14) {
return "E"
} else if (number == 15) {
return "F"
} else if (number < 10) {
return number.toString()
}
}
return number.toString()
}
}
fun main(args: Array<String>) {
val ng = NumberGame()
println(ng.solution(16, 16, 2, 2))
}
'안찌의 개발일기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tlin] 프로그래머스 level2 - 배달 (0) | 2023.09.05 |
---|---|
[최단경로 알고리즘] Dijkstra(다익스트라) 알고리즘 (0) | 2023.09.05 |
[Kotlin] 백준 2467 - 용액 (0) | 2023.09.04 |
[Kotlin]백준 15900(s1) - 나무탈출 (0) | 2023.08.21 |
백준 24230(g5) - 트리 색칠하기(Kotlin) (0) | 2023.08.16 |